2025년 3월 27일부터 AOSP를 빌드하고 기여하려면 aosp-main
대신 android-latest-release
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. 자세한 내용은 AOSP 변경사항을 참고하세요.
개요
컬렉션을 사용해 정리하기
내 환경설정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저장하고 분류하세요.
Android는 다음을 비롯하여 다양한 Wi-Fi 프로토콜 및 모드를 지원하는 기본 Android 프레임워크 구현을 제공합니다.
- Wi-Fi 인프라(STA)
- 테더링 모드 또는 로컬 전용 모드의 Wi-Fi 핫스팟(소프트 AP)
- Wi-Fi Direct(p2p)
- Wi-Fi Aware(NAN)
- Wi-Fi RTT(IEEE 802.11mc FTM)
Wi-Fi 서비스를 사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바인더를 통해 다양한 Wi-Fi 서비스와 직접 통신합니다. Wi-Fi 서비스는 시스템 서비스에서 실행되고, 제공된 HIDL 및 AIDL 인터페이스를 통해 HAL과 통신합니다.
아래의 다이어그램은 Android Wi-Fi 스택의 일반적인 구조를 보여줍니다.
그림 1. Android Wi-Fi 아키텍처
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
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수준에는 여러 android.net.wifi API를 사용하여 Wi-Fi 프레임워크 및 하드웨어와 상호작용하는 애플리케이션 코드가 있습니다. 내부적으로 이 코드는 바인더 IPC 메커니즘을 통해 Wi-Fi 프로세스를 호출합니다.
Wi-Fi 서비스
Wi-Fi 서비스는 시스템 서비스에서 실행되며 packages/modules/Wifi/service/
에 있습니다. Wi-Fi 서비스는 AIDL을 통해 Wi-Fi HAL과 통신합니다.
다음과 같은 다양한 Wi-Fi 서비스가 있습니다.
- Wi-Fi 서비스: Wi-Fi 인프라 모드를 제어하는 기본 메커니즘입니다(STA 및 AP 모두).
- Wi-Fi P2P 서비스: Wi-Fi Direct 모드를 관리합니다.
- Wi-Fi Aware 서비스: Wi-Fi Aware 모드를 관리합니다.
- Wi-Fi RTT 서비스: IEEE 802.11mc FTM 기능을 관리합니다.
Wi-Fi 프레임워크에는 독립형 프로세스인 wificond(system/connectivity/wificond
에 있음)도 포함되어 있습니다. wificond 프로세스는 표준 nl80211
명령어를 통해 Wi-Fi 드라이버와 통신합니다.
Wi-Fi HAL
Wi-Fi 프레임워크에는 Vendor HAL, Supplicant HAL, Hostapd HAL이라는 세 가지 인터페이스로 표현되는 세 개의 Wi-Fi HAL 노출 영역이 있습니다.
다양한 HAL의 구현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Wi-Fi HAL을 참고하세요.
이 페이지에 나와 있는 콘텐츠와 코드 샘플에는 콘텐츠 라이선스에서 설명하는 라이선스가 적용됩니다. 자바 및 OpenJDK는 Oracle 및 Oracle 계열사의 상표 또는 등록 상표입니다.
최종 업데이트: 2025-07-27(UTC)
[[["이해하기 쉬움","easyToUnderstand","thumb-up"],["문제가 해결됨","solvedMyProblem","thumb-up"],["기타","otherUp","thumb-up"]],[["필요한 정보가 없음","missingTheInformationINeed","thumb-down"],["너무 복잡함/단계 수가 너무 많음","tooComplicatedTooManySteps","thumb-down"],["오래됨","outOfDate","thumb-down"],["번역 문제","translationIssue","thumb-down"],["샘플/코드 문제","samplesCodeIssue","thumb-down"],["기타","otherDown","thumb-down"]],["최종 업데이트: 2025-07-27(UTC)"],[],[],null,["# Overview\n\nAndroid provides a default Android framework implementation that includes\nsupport for various Wi-Fi protocols and modes, including:\n\n- Wi-Fi infrastructure (STA)\n- Wi-Fi hotspot (Soft AP) in either tethered or local-only modes\n- Wi-Fi Direct (p2p)\n- Wi-Fi Aware (NAN)\n- Wi-Fi RTT (IEEE 802.11mc FTM)\n\nAn application using Wi-Fi services directly communicates with the various Wi-Fi\nservices through Binder. The Wi-Fi services run in the System Service and\ncommunicate with the HAL over the provided HIDL and AIDL interfaces.\nThis diagram shows the general structure of the Android Wi-Fi stack.\n\n**Figure 1.** Android Wi-Fi architecture\n\nApplication framework\n---------------------\n\nAt the application framework level is application code, which uses the various\n[android.net.wifi](https://developer.android.com/reference/android/net/wifi/package-summary)\nAPIs to interact with the Wi-Fi framework and hardware. Internally, this code\ncalls the Wi-Fi process through the Binder IPC mechanism.\n\nWi-Fi services\n--------------\n\nThe Wi-Fi services run in the System Service, and are located in\n`packages/modules/Wifi/service/`. The Wi-Fi service communicates with the\nWi-Fi HAL over AIDL.\n\nThere are various Wi-Fi services:\n\n- Wi-Fi Service: Primary mechanism for controlling Wi-Fi infrastructure modes (both STA and AP).\n- Wi-Fi P2P Service: Manages the Wi-Fi Direct mode.\n- Wi-Fi Aware Service: Manages the Wi-Fi Aware mode.\n- Wi-Fi RTT Service: Manages the IEEE 802.11mc FTM functionality.\n\nThe Wi-Fi framework also includes a stand-alone process, **wificond** , located\nat `system/connectivity/wificond`. The **wificond** process communicates with\nthe Wi-Fi driver over standard `nl80211` commands.\n\nWi-Fi HALs\n----------\n\nThe Wi-Fi framework has three Wi-Fi HAL surfaces represented by three different\ninterfaces: Vendor HAL, Supplicant HAL, and Hostapd HAL.\n\nFor details about implementations of the various HALs, see\n[Wi-Fi HAL](/docs/core/connect/wifi-hal)."]]